금요일, 서울 사는 친구가 퇴근하자마자 ktx를 타고 부산에 왔다. 부산에 내려온 기념으로 4명의 친구들과 동래에서 밥을 먹기로 했다.

 참을성이 없는 친구들인지 밥을 먹기로 하고 만났는데 모두 밥을 먹은 상태였고, 배가 불러 있었다. 물론 나도 마찬가지였다. 배가 고프지 않은 관계로 밥집 대신 술집을 찾아 동래 골목길을 서성였다. 평소 기다리는 손님이 많지만 오늘은 웨이팅이 없는 식당이 눈에 띄었다. 가련한 부엌이란 식당이다. 



가련한 부엌 방문기

가련한 부엌? 가련하다는 단어가 생소해 사전을 검색해본다.


가련하다 = [형용사] 가엾고 불쌍하다.


가엾고 불쌍한 부엌? 식당 주인이 식당 이름을 생각하며 검색 한번 해보지 않았을 리 없다.

왜 이렇게 이름을 지은 것일까? 의문을 품은 채로 포스팅을 시작해보겠다.

글을 읽다 보면 금방 의문이 풀리게 될 것이다.





▲가련한 부엌 입구

 일반 가정집을 개조해서 만든 식당이다. 세련된 느낌보다는 아기자기하고 따뜻한 느낌이 드는 외부 인테리어다. 기다리는 손님들을 위해 야외에도 메뉴판이 있다. 주관적인 의견이지만 야외에 메뉴판이 있는 식당은 맛집일 확률이 높다. 

 처음 가보는 식당이라 혹시나 메뉴가 마음에 들지 않을까 메뉴판을 꼼꼼히 살펴보는 친구들의 모습이 보인다.



  ▲가련한 부엌 입구

 일반적인 투명한 유리문이 아니다. 마치 외국 영화에 나오는 대형 도서관 문 같은 이 문은 내부가 보이지 않아 식당을 더욱 궁금하게 만들며 문을 여는 순간 새로운 곳으로 입장하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과연 식당 내부는 어떻게 되어 있을지 문을 열고 함께 들어가 보도록 하자. 문을 열기 전 잠시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가련한 부엌] 식당 이름에 대한 의문점을 해결해주는 글이 있다.


  ▲가련한 부엌 입구

 가련한 식당 : 가엽고 불쌍한 식당이 아니라

 (청순)가련한 식당 : 깨끗하고 순수하며 동정이 가도록 애틋한 식당 이었다.

 앞에 2글자가 빠짐으로 완전 다른 뜻이 되어 버렸다. 사장님의 사업 전략이었을까?

 4글자중 앞 2글자가 빠지면 완전 다른 뜻이 되는 단어를 생각 해본다.


자! 식당 입구로 들어가 보자


▲내부 1층

 식당 안은 손님들로 붐볐다. 식당 밖과 마찬가지로 현대식으로 세련된 느낌보다는 따뜻하고 아기자기한 느낌을 받았다. bar처럼 된 곳? 같은 곳을 바라보며 먹는 곳과 일반 테이블로 된 곳이 모두 있다.



▲회오리계단

 회오리 계단을 올라가면 2층도 있다. 화장실은 2층에 있지만 화장실에 가지 않았고 식사도 1층에서 했기 때문에 2층 사진은 없다. 블로거로서 2층사진을 찍지 않은 무책임한 행동을 반성하며 남은 글을 쓰도록 하겠다.



 ▲아기자기한 소품

 식당 곳곳은 아기자기한 소품들로 꾸며져있다. 엔틱한 가구에 조그맣고 앙증맞은 물건들이 들어가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낸다. "우리가 장사를 한다면 이렇게 인테리어 할 수 있을까?"라며 친구들과 이야기해 본다. 결과는 "아니오" 다. 

 돈으로 한 인테리어가 아닌 주인의 감각과 노력으로 한 인테리어임이 틀림없다. 틀림은 없지만 내 손모가지를 걸라고 한다면 걸지는 못한다. 주인의 친구가 해줬을 수도 있고, 인테리어 전문가를 고용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메뉴판

 메뉴판을 펼쳐 주문을 해본다. 메뉴판도 주인분의 정성과 노력이 느껴지는 디자인이다.


고기짬뽕 ( 15,000원 )

까르보나라 순살치킨 ( 14,000원 )

숯불갈비 벤또 ( 9,000원 )

하우스 막걸리 ( 5,500원 ) 4가지 메뉴를 주문한다.


▲식당의 컨셉

 컨셉은 알아서들 지켜 주시길^^



▲물잔

 유리컵이 앙증맞고 귀여워 포스팅을 하기위해 사진을 찍어본다. 눈치없는 친구의 아이폰이 함께 찍혔다. 사진을 찍기 전 저 아이폰을 몇번이나 치웠는데 이렇게 함께 찍힌 사진이 있다니...



▲물 따른 유리잔

 유리잔 사진이 실물보다 안 나와 물을 채워 넣고 다시 찍어본다. 물을 채우면 예뻐질 줄 알았지만 물을 채운다고 달라지는 건 없다. 학창시절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 여자친구가 생기지 않은 이유를 알 게 되었다.



▲기본 상차림

 물잔을 찍는 동안 기본상차림이 나온다. 오이, 오뎅, 완두콩, 우엉줄기 4가지 반찬이다. 특별히 맛있거나, 색다른 맛은 없다. 그냥 메인 음식이 나오는 동안 시간을 버티게 해 줄 친구들이다. 오른쪽은 고기 짬뽕에 쓰일 화로? 다.


▲젓가락

 쇠젓가락을 쓰지 않고 가정집 느낌을 주는 알록달록 귀여운 나무젓가락이 사용된다. 강박증이 있는 분들은 이 젓가락을 떨어트리는 순간 재앙이 시작되니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조심하길 바란다. 혹시나 젓가락 1개를 떨어트렸는데 종업원이 다른 색 젓가락을 준다면 짝짝이로 밥을 먹어야 한다. 얼마나 신경 쓰이겠는가? 미리 종원업께 색깔과 함께 젓가락을 요구하길 바란다. 안타깝게도 동그란 디자인이라 굴러 떨어지기 딱 좋다.





▲하우스 막걸리와 송화가루

 가장 먼저 도착한 음식은 하우스 막걸리이다. 조명 때문인지 원래 그런 것인지 막걸리가 뽀얀 우유처럼 흰색 빛을 띄었다. 막걸리와 함께 어떤 가루가 나왔다. 송화가루라고 하는 것인데 막걸리에 조금씩 넣어 먹으면 된다고 했다.



▲하우스 막걸리와 송화가루

 와인잔 비슷한 분위기 있는 막걸리잔에 막걸리를 부어 마신다. 송화가루를 막걸리에 넣어 마셔본다.

술에 가루를 타 먹으니 마치 탑스타(TOP, GD 등)가 된 느낌이다. 가루를 넣기 전, 후 맛을 비교해 적고 싶지만 친구들과 나의 입맛은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입맛이 둔한 것인지, 실제로 별차이가 없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냥 탑스타가 된 느낌으로 만족한다. 뱅뱅뱅~ 빵야빵야 빵야


▲숯불갈비 벤또 (9,000원)

 다음으로 나온 메뉴는 숯불갈비 벤또다. 철로된 사각형 옛날 도시락과는 다르게 비쥬얼이 어마어마하다. 내용물은 갈비, 계란, 새우튀김, 김말이 튀김, 오뎅, 포테이토 등으로 아주 다양하다. 친구들이 뺏어 먹기 딱 좋은 도시락이다.


▲까르보나라 순살치킨 (14,000원)

 다음으로 등장한 음식은 까르보나라 순살치킨, 가장 많이 남은 음식, 소스에서 아무맛도 나지 않아 간장 에 찍어 먹는다. 얼마 전 [도쿄 그집]에서 먹은 단호박 크림 파스타는 소스가 맛있어 양념까지 다 긁어 먹었었는데, 가련한 부엌의 까르보나라 소스는 그렇지 못했다.


▲고기 짬뽕 (15,000원)

 마지막으로 등장한 음식은 고기 짬뽕이다. 극찬할 정도는 아니지만나름대로 맛있는 짱뽕이다. 아래에 불이 있어 마지막까지 따뜻하게 먹을 수 있다. 각종 해산물과 고기가 들어 가있어 한끼 식사로도 훌륭하며 안주로도 적격이다.


▲한자 책

 식사를 하며 배를 채웠고, 식사를 마친 후 한자책을 읽으며 마음의 양식도 쌓는다. 마음의 양식의 쌓다보면 삶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

삶의 이치는 바로 "공짜는 없다" 이다.


▲빌지

 이 한자책은 빌지 였다. 한자책 사이에 꼽힌 영수증을 뽑아서 계산하면 된다. 빌지마저 톡톡튀는 개성이 느껴진다. 주인장의 아이디어의 끝은 어디일까?


▲드론샷

 마지막으로 드론촬영 사진을 남기며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다.



식당 : 가련한 부엌 (청순가련한 부엌)

영업시간 : 05:00~01:30

주소 : 부산 동래구 명륜로 129번가길 28












 









 







 보통은 여행갈 도시의 주변 관광지, 맛집, 숙소 등을 철저히 조사해본 후 출발하는 것이 일반적인 여행 전 할 일이지만, 귀차니즘과 어떻게든 되겠지 라는 마인드로 속초라는 낯선 도시로 1박 2일 여행을 아무런 조사도, 계획도 없이 시작한다.

 속초는 포켓몬이 잡히는 도시, 은유니 형님이 있는 도시, 동해안에 위치한 도시 이 정도만 알고 있는 채로 출발했다. 돌아오는 길에 버스에서 보내는 시간이 너무 길어 검색해보니 속초는 대한민국 지도 중 남한에서 가장 우상단에 위치해 있었다...나는 부산사람인데.. 여행 전에 미리 지도 검색을 해보았다면 이렇게 먼 속초여행을 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속초가 어딘지 몰라 과감히 여행을 하게 되어 오히려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산 사람이 속초까지 와서 아무거나 먹고 돌아갈 수는 없었다. 막무가내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라도 유명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가겠다는 생각으로 속초 맛집이라고 꼽히는 곳에서 식사를 했다.


그 중 가장 맛있었던 곳으로 포스팅을 해보겠다. 그 곳은 바로 아바이순대와 가리국밥이 있는 신다신이다.

 

아바이 마을은 섬이었다. 섬인지도 모를 정도로 육지와 10m 정도 떨어져 있었다. 사실 갯배를 타고 섬에 들어가서도 섬인지 몰랐다.....포스팅을 위해 신다신 식당을 검색해 본 후 알게 되었다. 얼마나 무지한 여행이었는가.. ㅠㅠ

지금부터 아바이마을 신다신 방문기를 천천히 써내려 가보겠다.


▲갯배선착장

속초중앙시장에서 얼마 가지 않아 갯배 선착장이 있었다. 뱃값은 편도 성인 500원이었다.

잉? 뱃값이 무슨 택시비보다 싼것도 아니고 버스비보다 싸다니? 뭔가 이상한데?..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선착장에 도착한 순간 모든 궁금증은 해결 되었다. 배를 타고 바다는 건너는 길이는 10m 남짓했고, 배의 동력은 인력이 사용되었다.


 ▲갯배

 갯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는 나의 모습이다. 선장님? 이 남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셨다. 철로 된 기구를 잡고 선장님을 까라 와이어를 당겨 배를 이동 시켰다. 속초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을 하나 꼽으라면 고민없이 바로 이 갯배를 꼽을 것이다. 



▲1호점 입구 골목쪽

 따로 길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내려서 잠시 걸으니 바로 신다신을 발견했다. 인터넷에서 자주 보던 식당을 이렇게 별 노력없이 찾다니, 반가우면서도 허무한 느낌이 동시에 들었다. 식당 앞까지 줄을 서 있는 사진을 자주 보았는데 비가오는 날씨라 그런지 손님들이 줄을 서 있지 않았다.


▲공사 중인 입식 2호점

 멀리서 찾아오는 손님들을 기다리게하는 것이 불편한지 바로 코앞에 2호점을 준비 중이었다. 앞으로는 줄서는 일이 줄어 들겠지?


▲1호점 입구 바다쪽

 1호점은 나름대로 오션뷰를 가지고 있다. 바다쪽으로 난 입구도 있다.


▲내부

 밖에서도 보았듯이 1호점은 좌식이다. 웨이팅은 없었지만 내부 테이블을 모두 꽉찬 상태 였다. 


▲둥글레차

 자리에 앉으니 물을 주셨다. 보리차 같아 보이는 평범한 누런 빛 물이었다. 맛집이 아니었다면 그냥 마셨겠지만 맛집의 명성 때문인지 평범한 물도 엄청난 노하우가 숨겨져 있어 보였고 누런 빛이 황금 빛으로 보이는 것만 같았다. 어떤 물인지 궁금해 종업원 분께 여쭤보니 둥글레차라고 하셨다. 맛은 음 기억이 안난다.


▲메뉴판

 아바이 마을에 온 기념으로 아바이 순대는 꼭 먹어야겠고 오징오 순대도 놓치고 싶지 않았다. 이런 까다로운 고객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메뉴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모듬순대! 모듬순대와 동동주 그리고 아바이 순대국을 주문했다.


▲가리국밥과 아바이 순대국

 가리국밥과 아바이 순대국중 어떤 국밥을 먹을지 고민하는 분들에게는 가리국밥을 추천한다. 물론 나는 아바이 순대국을 주문했지만, 알고보니 신다신은 가리국밥으로 굉장히 유명한 곳이었다. 그 증거로 사진을 하나 첨부 하겠다. 아래 사진을 보자


한국인이 사랑하는 오래된 한식당 100선에 아바이마을 다신식당이 뽑혔었다. 신다신의 옛 이름은 다신식당이었나 보다. 이 때 중요한 것은 다신식당의 주메뉴가 가리국밥이란 것이다. 1000원 아끼려고 아바이 국밥 먹지말고 속초까지 왔으니 가리국밥을 꼭 먹어보길 바란다. 물론 아바이 국밥이 맛없다는건 절대 아니다.!!



▲기본상차림

기본 상차림으로는 배추김치, 깍두기, 백김치, 양파, 고추 양념장이 나왔다. 모두 아삭아삭한 반찬들이었고 그중에서도 백김치와 깍두기는 내 입맛이 딱 맞았다.


▲모듬순대

 아바이순대와 오징어 순대 맛보기 명태회가 있는 모듬순대가 등장했다. 아바이 순대는 요즘 부산에서도 맛 볼 수 있는데 아바이마을에서 먹는 아바이 순대는 마치 미국에서 콜라를 마시는 느낌이라고나 할까? 비슷한 맛인데도 더욱 맛있게 느껴졌다. 오징어 순대는 순대가 아니라 동그랑땡 같이 생겼다. 맛도 동그랑 떙이랑 비슷하다. 테두리는 양파링처럼 오징어가 한바퀴 감싸고 있고 그 안으로 속이 들어가 구워져 나왓다. 왼쪽에 보이는 빨간게 명태회다. 평소 회무침을 굉장히 좋아했어서 그런지 명태회가 입맛에 꼭 맞았다. 신다신의 모듬순대를 보니 집 근처에 이런 식당이 있으면 친구들과 술한잔하기 딱 좋겠다라는 생각이 났다.

▲오징어순대

오징어순대 아까이에서 본 모습. 탱글탱글한 오징어가 테두리에서 순대 모양을 잡아주고 있다.

▲옥수수막걸리

속초하면 생각나는 첫번째는 갯배, 두번째는 바로 이 옥수수 막걸리이다.

들르는 식당마다 판매하고 있었으며 막걸리에서 옥수수향이 났다. 찐한 옥수수향이 막걸리에 풍미를 더해 속초의 명물이라고 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아바이순대국

 아바이 순대국을 마지막으로 주문한 모든 음식이 나왔다. 블로거 답게 먹기전 사진 한컷 찍어주고 순대국에 밥을 말아 먹기 시작한다. 아바이 순대국은 맑은 국물에 빨간 양념을 풀어 먹으면 되었다. 참고로 아바이순대를 주문하면 아바이순대국을 따로 주문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신다신의 추천메뉴는 가리국밥과 모듬순대 냉면 3가지이다. 내가 먹어보지는 않았지만 냉면을 먹는 손님이 많았고 타 블로그에서도 냉면을 추천해 주고 있다.


신다신 :  033-633-3871

강원도 속초시 아바이마을길 22








 최근들어 맛집 포스팅을 게을리 한 죄를 뉘우칠 겸 and

 울산 친구집에 놀러 온 기념으로 울산 맛집을 포스팅 하기로 결심한다.


늦은밤 잠자리에 누워 검색창에 울산 맛집을 검색해 본다.

돈까스, 오리고기, 보쌈, 튀김, 다양한 메뉴들이 보이지만 마땅히 feel이 꽂히는 메뉴는 없어 친구에게

내일 뭘 먹을지 물어본다.

친구는 식사장소는 집근처 생생정보통에 나온 순두부 보쌈집을 추천해 준다.

평소 순두부 찌개를 좋아하던 단 번에 콜을 외치고 잠이 든다. 


다..음..날


밤늦게 까지 맛집을 찾아서인지, 원래 게을러서 인지 눈을 떠보니 시계바늘은 1시를 가르키고 있었다.

점심시간이 끝나가고 있었던 것이다.

옷을 되는대로 껴입고 순두부 집으로 출발한다

차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금방 도착할 수 있었다.


▲주차장

 식사시간이 끝나서 인지 주차장은 나름대로 여유로웠다. 편안하게 주차를 마친 후 차에서 내리니 가장먼저 눈에 띈 건물은 우정교회 였다.


▲우정교회

 굉장히 큰 교회가 식당 바로 맞은편에 위치해 있었다. 위치를 잘 모르는 분들은 주소검색보다는 우정교회를 검색해서 찾아오는 편이 편리해 보여 사진을 한번 올려본다.


▲식당 2채

 식사를 하기 위해 건물에 들어가다 멘붕이 왔다. 같은 간판을 한 건물이 주차장을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 해 있었다. 한 곳은 한옥건물이었고 나머지 한 곳은 현대식으로 인테리어 되어 있었다. 어느 곳이 진짜 명촌 순두부 보쌈이지? 한 곳은 짝퉁인가? 라는 고민에 빠진 채 파스타나 스테이크가 아닌 순두부 보쌈은 한옥 건물에서 먹으면 더 맛있을 것만 같은 느낌에 이끌려 한옥 건물로 향했다.

한옥건물 앞에서 간판을 보니 오른쪽에 조그마하게 "별관"이란 글이 보였다. 별관이란 글자에 main이 아닌 sub같은 느낌을 받아 결국은 현대식 건물로 입장하게 되었다.



▲명촌 순두부 입구

 입구에 들어서자 정확한 정체를 알 수 없는 향기가 났다. 향기가 기분을 좋아지게 했지만 자연적인 향이아니라 인공적인 향임은 틀림 없었다. 어디에 방향제가 있는 것일까?..



▲내부 인테리어

 식당은 전체적으로 넓고 깔끔했다. 전체적인 식당이 넓어서 인지 테이블 각각의 크기도 넓찍했다.

모든 테이블은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어 룸같은 느낌을 주었고, 식당 한편에는 실제 룸도 있었다.

 어린이가 있거나 조용한 대화를 원하는 고객에게는 룸에서 식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넓은 자리

 친구와 2명에서 식사했지만 6명이 앉아서 먹어도 넉넉할 정도의 테이블이다.

바닥은 온돌이 들어와있어 앉는 순간 방석이 필요 없을 정도로 따뜻했다.


▲메뉴판

 친구와 나는 전복순두부와 명촌보쌈 (中) 을 주문 했다.

점심특선으로 주문했다면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배불리 먹을 수 있었을 듯 하다.



▲보쌈 서포터

메인메뉴 보쌈이 등장하기전 보쌈을 더욱 맛있게 만들어 줄 보쌈 서포터가 차려졌다.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돌게 예쁘게 담겨져 있다.




▲명촌보쌈

 명촌 보쌈이 등장했다. 직접 만든 두부 두조각이 접시 중간에 위치해 있고 두부를 따라 고기가 정렬 되어 있다. 종업원 분께서 마늘 소스를 고기에 올려 먹는 것이라고 알려 주셨다.


▲마늘소스

 달달하면서도 알싸해보이는 마늘소스를 보쌈위에 뿌린다.



  마늘소스를 올린 후 보쌈을 맛있게 먹으면 된다. 다양한 쌈과 소스가 있어 원하는 대로 취향에 맞게 먹을 수 있다.


 ▲나의 쌈

   평소 쌈을 즐겨먹는 나는 김치와 무말랭이, 쌈장찍은 마늘을 넣고 한 쌈 먹어본다.

고기가 퍽퍽하지 않고 부드러워 목막힘 없이 smooth하게 넘어 간다.



 보쌈을 먹다보니 전복순두부 찌개가 등장했다.

▲전복 순두부 찌개

 보글보글 끓으며 뚝배기채 나온 순두부 찌개에는 날 계란이 함께 나왔다. 종업원 분께서 보쌈에 마늘 소스를 뿌려 먹었듯 순두부찌개에는 날계란을 넣어 먹는것을 추천해주셨다. 계란은 찌개가 끓고 있을때 넣어야한다. 


▲계란 탁

 날계란을 넣으면 보글보글 끓고 있던 뚝배기가 진정된다. 계란은 넣자 마자 휙휙 저어줘야 제 맛이다.


▲전복 순두부 찌개

 전복 순두부찌개 답게 전복이 한마리 통째로 들어가 있었다. 해산물을 싫어하는 친구 덕분에 전복 한마리를 온전히 나의 차지가 되었다. 순두부찌개의 두부를 국내산으로 직접만들어서 인지 그것을 아는 나의 심리 상태때문인지는 몰라도 두부가 더욱 담백하게 느껴지는선 사실이었다.





식사를 마치고 나가는 고객들에게는 국산콩 비지를 무료로 제공해 주었다. 국산 콩비지가 뭔지 잘 모르는 나는 챙겨가지는 않았지만 집에서 식사를 챙겨드시는 분은 챙겨가서 국 끓일때 넣으면 담백한 맛을 집에서도 즐길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명촌 순두부 보쌈은 전체적으로 자극적이지 않고 건강한 맛이었다. 아쉬운점이 있다면 가격이 생각보다 비쌌다. 다시 한번 방문하게 된다면 맑은 순두부찌개를 주문해 두부의 참 맛을 느껴보고 싶다.




전화번호 : 본관 052-283-1300

              별관 052-288-5531

주소 : 울산광역시 북구 명촌로 7 (네비 찍으시는 분들은 "우정교회" 검색)







+ Recent posts